Morning Sun Café - 아침해 카페

      

 

'박근혜 사랑'

중국에서 국빈으로 최고의 대우를 받아   

세계정상들이 부러워하고 언론이 찬사를 보내는 이유는 

우연이 아니요  

박근혜 대통령의 평소 훌륭한 존경스러운  

준비된 품격때문...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혼자 독학으로 중국어를 연마 하고 중국을 공부하며 5개국어를 하니.. 

중국주석이 계단밑까지 마중 하고  

주석이 조하하며 내외 만찬 등   7시간을 독대 했다 

 

중국이 좋아하며 최고의 대우를 한 이유중 한   예 를  아래에 전하니

 

국민이 대통령을  존경하고

국민이  대통령을 본 받고   

 

세계 1등 국민으로 변하도록  

자녀들을 가르칩시다 

 

박근혜 대통령과 펑유란

 

펑유란(馮友蘭) 1934년 완성한중국철학사는 중국인이 쓴

최초의 중국 철학사다. 그는 1948년 미국 대학의 방문교수로

있으면서 강의 교재로 쓰기 위해 영어로 된

‘A Short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라는 책을 새로 펴냈다.

그의중국철학사 1983년 영어로 완역돼 중국 철학사의 표준서가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2007 5월간에세이에 기고한

내 삶의 등대가 되었던 동양철학과의 만남이라는 글에서

숨 쉬는 것조차 힘들던 시절 내 삶의 한 구석에 들어와

인생의 큰 스승으로 남은 것이 펑유란의중국철학사라며

논리와 논증을 중시하는 서양철학과는 달리 동양철학에는

바르게 살아가는 인간의 도리와 어지러운 세상을 헤쳐 나갈 지혜의

가르침이 녹아 있었다고 썼다.

박 대통령의 방중에 앞서 중국에서 출판된 책박근혜 일기

이런 내용이 실리면서 중국 언론에서 화제가 됐다.

장즈쥔(張志君) 중국 국무원 대만판공실 주임이 올 1월 박 대통령 당선

축하 특사로 왔을 때 꺼낸 첫말이펑유란은 제 스승입니다였다.

장 주임이 베이징(北京)대학을 다닌 1970년대 펑유란은 교수로 있었다.

펑유란은 1949년 장제스(蔣介石)가 대만으로 가면서 함께 가자고

요청했지만 뿌리쳤다. 그 대신 마오쩌둥(毛澤東)에게과거 봉건철학을

강의하고 국민당을 도왔다. 현재 나는 사상을 개조해 마르크스주의를

공부하기로 결심했다는 편지를 썼다. 마오쩌둥은 그를 베이징대에 복귀시켰다.

박 대통령은 수첩공주란 별명답게중국철학사에서 맘에 드는

글귀들도 기록해뒀던 모양이다. 그는 얼마 전 기자 간담회에서는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읽어보니이거 내가 실천하고 있는 거잖아

라고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그 글귀 중에는 이런 것도 있다.

깊은 방안에 앉아 있더라도 마음은 네거리를 다니듯 조심하고,

작은 뜻을 베풀더라도 여섯 필의 말을 부리듯 조심하면

모든 허물을 면할 수 있다.”


馮友蘭이 직접쓴 족자를 박대통령에게 선물하였다

이 족자는 펑유란의 외손녀가 보관해 온 것으로 그는 박 대통령에게
이를 선물하면서 "박 대통령이 외할아버지의 책을 보신 소중한
친구이기 때문에 선물하는 것"이라며 "만약 외할아버지가 살아계셨다면
이를 박 대통령께 드리는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족자가 대단한 이유
중국의 문화재 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문화재청 격인 국가문물국에 등록돼 있는 '문물(文物)'
박 대통령에게 전달하기 전 문물국의 허가를 얻었다고 합니다.
청와대는 "이 작품은 문물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과정 때문에
우리 측에 사전에 통보가 없이 칭화대 연설 직후 전달된
'깜짝 선물'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이 자랑하는 문화재라는 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족자에 담긴 내용입니다.
펑유란은 만 89살이던 1984년에 중국 당나라 때 시인 왕창령(王昌齡·698∼756)
'부용루송신점'(芙蓉樓送辛漸)을 붓글씨로 썼습니다. 내용은 이렇습니다.

寒雨連江夜入吳(한우연강야입오):
차가운 밤비 강물을 따라 오나라 땅으로 흐르는데.

平明送客楚山孤(평명송객초산고):
이른 아침 친구 떠나 보내니 초나라산이 외롭게 보이는구나.

洛陽親友如相問(낙양친우여상문):
낙양의 벗들이 내 소식을 묻거들랑.

一片氷心在玉壺(일편빙심재옥호):
한 조각 얼음같은 마음 옥 항아리에 담겨 있다 하게.

부용루는 중국 강소성 진강에 있는 누각입니다.
이 장소는 처음에 오나라 땅이었다가 나중에 초나라 땅이 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지역을 뜻합니다. 이 시는 왕창령이 자신의 절친한 친구인
신점을 낙양으로 떠나 보내기 직전에 애절한 심정을 노래한 절창(絶唱)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이 족자를 받은 날은 공교롭게도 베이징 방문을 마치고
시안으로 떠나는 날이었습니다.
이 시를 놓고 비유하자면 중국은
저자인 왕창령이고 그의 친구인 신점은 박근혜 대통령에 해당합니다.
마지막 구절에 나오는 '일편빙심'(一片氷心)은 아주 맑고 깨끗한 마음을 뜻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한국으로 귀국한 뒤 사람들이 중국이 어떠했느냐?
물으면 박대통령과 한국을 향한 중국의 마음은 한 조각 얼음처럼 순수했다"
답해주기를 바라는 심정인 듯 합니다.

아무튼 펑유란의 이 서예 족자는 중국이 엄청나게 고심한 끝에 선정한
'맞춤형 선물'임에 틀림없습니다. 박대통령이 잘 아는 펑여우란과
관계 되는 것 중에서도 중국인의 마음을 담은 것을 고르다보니
국가 문화재를 아낌없이 내주는 결정을 한 것입니다.

중국의 '박근혜 사랑'이 중국통인 박대통령에 대한 보답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목적이 있는지는 좀 더 두고 보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鄧 麗君 - 獨上西樓

 

항상 건강(健强) 하시고 좋은일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I wish you have a healthy and happy day!

Morningsuncafe.net - 운영자, CK Yu

 

 

   박근혜 사랑  

2012 Copyright   CK Yu 카페 Blog